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귀하의 브라우저가 완벽하게 지원되지 않습니다. 옵션이 있는 경우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Mozilla Firefox, Microsoft Edge, Google Chrome 또는 Safari 14 이상을 사용하세요. 가능하지 않거나 지원이 필요한 경우 피드백을 보내주세요.

이 새로운 경험에 대한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의견을 말씀해 주세요새 탭/창에서 열기

Elsevier
엘스비어와 함께 출판

산학 협력: 연구 리더를 위한 고찰

대학과 산업계의 협력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그 이유와 함께 산학 협력의 성공 요인, 올바른 파트너를 찾는 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header

산학 협력이란?

우리 대학은 다양한 학문적 커뮤니티에서 우수한 교육, 혁신적인 연구, 학생들의 개인적 성장과 지적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유명 연구 중심 대학의 사명(mission)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이 사명문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학생과 학계에 대한 헌신입니다.

기업의 주요 목적은 주주 가치 창출입니다. 스타트업은 투자자에게 수익을 제공해야 합니다.

학계는 개방성을 장려합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새로운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발표하도록 동기를 부여 받습니다. 이에 반해 기업 문화는 혁신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에 덜 개방적입니다.

퀴즈: 다음 중 산학 협력과 관련해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1. 협력에는 한 가지 종류만 있다.

  2. 사회적 영향력은 이러한 협력의 잠재적 이점 중 하나이다.

  3. 장기적인 잠재력을 위한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4. 기업 파트너와의 기존 관계는 중요하지 않다.

  5. 기업 연구자와 함께 발표한 논문은 인용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Quiz picto

정답은 각 챕터를 읽어보면서 맞춰보십시오. 본 페이지 마지막 부분에서 바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주제가 전혀 다른 사람들이 협력은 둘째 치고 서로 같이 할 수 있을까요?

그렇게 하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대학과 기업 문화는 모두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기업은 점차 개방성을 확대 수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학은 연구 결과를 사회적으로 더 많이 활용할 방법이 필요함을 깨닫고 있습니다.

대학과 산업계의 협력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Nature Index의 뉴스 블로그새 탭/창에서 열기에 따르면 산학 협력은 2012년과 2016년 사이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아래 도표는 Scopus 분석 결과로 산학 협력으로 공동 저술된 전 세계 논문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15-2019년 산학 공동 저술 출판물 추이

2015-2019년 산학 공동 저술 출판물 추이

아래 도표는 대학과 산업 파트너가 사명이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역량은 상호 보완적이기에 모두가 혁신적 발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대학 연구자들은 어려운 문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자유롭게 추구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기업은 연구 결과물을 가져와 이를 더욱 발전시키는 데 능숙합니다.

출처: NSF, 국가 R&D 추이: 2017-2018 업데이트. 지출액 (백만 달러)

출처: NSF, 국가 R&D 추이: 2017-2018 업데이트. 지출액 (백만 달러)

위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두 부문의 투자 상황은 서로 다르지만 상호 보완적입니다. 이러한 상호 보완적인 역량은 성공적 파트너십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공식이 됩니다.

대학과 산업계의 협력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두 명의 과학자가 술집에 들어갑니다

두 명의 과학자가 술집에 들어갑니다. 한 사람은 “H2O를 주세요.” 라고 말합니다. 그는 마실 물을 얻습니다. 그런데 다른 한 사람이 “저도 H2O를 좀 마실게요.” 했는데 그는 죽게 됩니다.

결실을 맺는 협력은 이렇게 전혀 다른 상황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바이오 스타트업 연구자와 대형 대학 의학 연구소 연구자가 한 컨퍼런스에서 만났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들은 서로 비슷한 연구 관심사를 발견하고 연구 내용을 공유하고 결국에는 공동으로 논문까지 발표합니다. 뜻밖의 발견은 혁신을 이끄는 강력한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단순한 상호 작용에서 시작될 수 있지만 유익한 발견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제 대학과 산업계 파트너 간의 훨씬 더 광범위한 협력에 대한 아이디어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종종 대학의 최고 경영자가 참여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이루어집니다. 신시내티 대학교와 프록터 앤 갬블의 관계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collaboration illustration

전 신시내티 대학교 연구처 부총장이자 현재 필립 테일러 환경 컨설팅의 대표인 필립 테일러(Philip Taylor) 박사새 탭/창에서 열기는 산업계와 대학의 경험을 통해 얻은 자신만의 인사이트가 있습니다. 그는 산학 협력의 장점으로 인프라, 아키텍처, 적합한 인력까지 갖춘 대학에 중대한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꼽았습니다. 대학은 또한 이러한 협력을 통해 기업으로부터 상당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 사례는 전 세계에 걸쳐 있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 책임자인 루이지 오치핀티(Luigi Occhipinti) 박사새 탭/창에서 열기는 공대 학과에서 소규모로 시작돼 확장되는 협력 사례를 자주 목격한다고 합니다. 그는 다이슨을 예로 들었습니다. 2016년 케임브리지대와 다이슨은 공동으로 다이슨 엔지니어링 디자인 센터새 탭/창에서 열기를 열었습니다.

2020 타임스고등교육(THE) 세계 학술 서밋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대학은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다시 상상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패널 토론이 있었습니다. 인도 심비오시스 국제대학 부총장인 비디아 예라브데카르(Vidya Yeravdekar) 박사는 인도 혈청연구소가 아스트라제네카 및 옥스퍼드대학과 협력해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을 연구하고 있다며 다음처럼 말했습니다.

옥스퍼드대와 같은 글로벌 대학과 인도의 기업 간에 멋진 산학 협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산학 협력에서 정부의 역할

이러한 유형의 협력에는 종종 정부가 맡은 역할이 있습니다. 정부의 참여는 일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별 양상은 크게 다릅니다. 기업-정부-대학 간의 3자 파트너십은 트리플 헬릭스새 탭/창에서 열기(Triple Helix)로 불리기도 합니다.

리서치 2030 팟캐스트의 최근 에피소드인 “백지장도 맞들면 나은 진짜 이유 - 산학 협력의 힘새 탭/창에서 열기”에서 산학 협력 시범 파트너십(UIDP)새 탭/창에서 열기의 대표인 토니 보칸푸소(Tony Boccanfuso) 박사새 탭/창에서 열기는 미국에서는 정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소홀해졌지만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경향은 변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그의 설명을 직접 들어보세요.새 탭/창에서 열기

팟캐스트 듣기새 탭/창에서 열기

오치핀티(Occhipinti) 박사는 영국의 공학 및 물리과학 연구위원회(EPSRC)가 박사 교육 센터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에게 지원하고, 종종 산업 파트너의 지원도 받는 것을 공공 자금 지원 기관의 한 예로 들었습니다.

중국의 한 의학 연구 책임자는 제약 회사, 대학, 중국과학원 간의 다년간에 걸친 광범위한 협약을 트리플 헬렉스의 예로 들었습니다.

medical research illustration

미국에서 이러한 협력을 장려하는 성공적인 정부 프로그램 사례로는 국립암연구소(NCI) 암 나노기술 연합새 탭/창에서 열기을 들 수 있습니다. 해당 웹사이트새 탭/창에서 열기에 따르면,

중개 연구(translational research)를 위한 연합 모델은 대학 실험실의 발견을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 파트너에 이전해 연구와 임상 제품으로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것입니다. 연합에 참여하는 회원들은 자신의 기술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1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설립하고 기존 생명공학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이러한 스타트업 중 다수는 성공을 이뤄 현재 대학과 병원에 제품이나 연구/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형 제약회사와 벤처캐피탈에서 상당한 투자를 유치한 기업도 있었습니다.

대학과 산업계가 협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영국의 산학 협력 검토 보고서인 “The Dowling Review of Business-University Research Collaborations새 탭/창에서 열기”의 요약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전략적 차원의 산학 연구 협력은 참여자에게 수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대학이 얻는 혜택으로는 ▲실세계 응용을 통해 까다로운 연구 문제 해결, ▲자신의 연구가 실질적 영향력이 있는지 확인, ▲새로운 기술, 데이터, 장비에 접근하는 기회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업은 ▲새로운 기법이나 기술 개발을 통해 비즈니스 성과 개선, ▲연구에 대한 투자 위험 감소, ▲회사의 역량과 전문성 확장과 같은 혜택이 있습니다.

UIDP새 탭/창에서 열기에서 발행한 “연구자 가이드북: 성공적인 산학 협력을 위한 가이드새 탭/창에서 열기(Researcher Guidebook: A Guide for Successful Institutional-Industrial Collaborations)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대학과 기업 모두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새로운 시너지 효과와 상호 잠재적인 ROI를 약속하는 모델의 발견을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경우,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전문 지식과 연구에 접근할 수 있기에 혁신을 촉진하고 자원을 확장하며 경쟁 우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연방 예산 긴축으로 인해 최고 수준의 연구소들조차 지원 공백을 겪고 있는 가운데 비영리 대학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유망한 수익원 확보, 변화하는 시장 및 산업의 트렌드 파악, 연방 자금 지원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경쟁력 강화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엘스비어가 주요 대학의 연구 기관에 기업과의 협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를 물어본 결과 가장 많은 상위 5개 답변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사회적 영향력의 잠재력 향상

  2. 학문적 성과 향상

  3. 자금 지원 증가

  4. 경제 발전 잠재력

  5. 자금 지원을 위한 정부 프로그램 활용

아래에서 동영상 및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십시오.

Five reasons universities collaborate with industry

산학 협력의 5가지 이유

산학 협력의 5가지 이유

산학 협력의 성공 요인

엘스비어 부사장이자 영국의 7개 연구위원회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공학 및 물리과학 연구위원회(EPSRC)의 전 프로그램 디렉터인 레슬리 톰슨(Lesley Thompson) 박사새 탭/창에서 열기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잘 요약했지만, 안타깝게도 쉬운 답변은 없습니다.

여러분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파트너십에 대해 관대한 자세로 임하고 있습니다.

본 가이드의 서두에서 우리는 고등 교육 기관과 민간 부문의 사명과 주제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톰슨 박사는 가장 성공적인 협력은 작은 규모로 시작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양측이 장기적인 파트너십의 잠재력을 보고 폭넓게 공유하고 소통한다면 성공 가능성은 더 커집니다.

성공적인 협력의 또 다른 중요 요인은 파트너와의 기존 경험이나 연구 주제의 공유입니다.

finding an industry partner

대학이 기업 파트너를 찾을 수 있는 방법

업계 리더들에 따르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측면은 대학 파트너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 성공적인 협력의 역사를 공유

  2. 유사한 연구 주제를 가지고 동일한 연구 분야에서 협력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학교새 탭/창에서 열기 사례와 같이 광범위한 협약을 담은 중요한 협력 프로젝트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자 간에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소규모의 협력도 종종 있습니다. 대학의 연구처에서 이러한 협력에 대해 알게 되면 이를 촉진하고 확장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어떤 회사가 여러분과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런 경우에는 일부 프로젝트를 조정하고 전략적으로 새로운 협력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요건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충족하는 잠재적 파트너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핵심은 데이터입니다. 이 퍼즐을 풀고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 중 하나가 바로 퍼블리싱 데이터입니다. 어떤 기업 파트너와 공동 저술한 논문을 공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도 잠재적인 기업의 논문을 평가해 해당 기업이 어떤 분야의 논문을 발표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미국의 한 연구 대학에서 논문을 공동 집필한 기업 목록입니다.

SciVal – a tool for visualizing research performance.

SciVal - 연구 성과의 시각화를 위한 도구

이 예에서는 한 공대 학과가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이 공대 학과는 그 동안 캐터필러와 소규모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현재 7명의 연구원과 4건의 공동 저술 논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대학은 캐터필러와 같은 지역에 있기 때문에 더 깊이 탐구해 볼 수 있는 흥미로운 회사가 됩니다.

SciVal을 통해 잠재적인 산업 분야 파트너 식별

Illustrated woman overloaded with information

SciVal을 통해 잠재적인 산업 분야 파트너 식별

현재의 협력을 더 잘 이해하고 잠재적인 새로운 파트너를 결정하기 위해 공동 저술 논문을 찾아보는 예도 있습니다.

업계와의 협력이 피인용지수에 미치는 영향

구글새 탭/창에서 열기에서 “21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은 무엇인가?”로 검색하면 첫 번째 결과는 “21세기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 나옵니다. 영향력을 측정하는 학문적 방법은 자신이 발표한 연구를 인용하는 다른 논문의 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인용 횟수가 많을수록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계 연구자들은 종종 기업 파트너와 공동 저술한 논문이 학계 파트너와 함께 저술한 논문보다 인용 횟수가 적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공동 저술 협력 사례를 살펴봤습니다. 분야별 상대적 피인용지수(FWCI)새 탭/창에서 열기를 사용해 전 세계 영향력을 분석했습니다.

field-weighted citation impact metric

출처: “코로나19 이후 대학은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다시 상상할 것인가?” 2020 타임스고등교육(THE) 세계 학술 서밋 패널 발표.

상기 도표에서 보다시피, 모든 지역에서 기업 공동 저자로 발표된 연구(파란색 막대)의 피인용 지수가 더 높았습니다.

이는 산업계와의 협력이 덜 중요하다는 통념에 반하는 것입니다. 연구자들에게는 이러한 모든 장점을 얻기 위해 산학 협력을 추구할 기회가 주어져야 합니다.

정답: 다음 중 산학 협력과 관련해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1. 협력에는 한 가지 종류만 있다. 틀림 - 산학 협력은 형태와 규모가 다양합니다.

2. 사회적 영향력은 이러한 협력의 잠재적 이점 중 하나이다. 맞음 - 학계 연구 리더들은 산업계와의 협력 이점 중 하나로 사회적 영향력을 꼽았습니다.

3. 장기적인 잠재력을 위한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맞음 - 두 조직이 공동 프로젝트를 작게 시작하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각하고 관대하게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 성공의 비결입니다.

4. 기업 파트너와의 기존 관계는 중요하지 않다. 틀림 - 기존 관계는 새로운 연구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있어 두 가지 성공 요인 중 하나입니다. 다른 하나는 특정 연구 주제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와 배경입니다.

5. 기업 연구자와 함께 발표한 논문은 인용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틀림 - 인용 영향력 분석 결과, 대학 연구자와 기업 연구자가 공동 저술한 논문의 피인용지수가 실제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 내용을 PDF로 보기새 탭/창에서 열기

Quiz picto